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상장폐지(상폐) 어떻게 피할 수 있을까?

반응형



상장폐지(상폐)를 피하기 위해서는 재무 건전성과 지속가능한 영업활동을 중점적으로 봐야 한다.

특히 코스피/코스닥에서는 일정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관리종목 또는 상폐가 될 수 있기에  주의 깊게 봐야 할 재무적인 지표들을 소개한다.


1. 자본잠식 여부

자본잠식률 = (자본총계 / 자본금) × 100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이면 관리종목, 100%면 상폐 사유입니다.

자본총계가 마이너스면 매우 위험한 신호




2. 영업이익 및 순이익

3년 연속 영업손실 시 관리종목 지정 가능
순손실이 지속되면 자본잠식으로 이어질 수 있음
계속적자 기업은 리스크가 큽니다.



3. 감사의견

“한정, 부적정, 의견거절” → 상장폐지 사유
매년 감사보고서(3월 말~4월 초) 발표 시 꼭 체크



4. 부채비율

부채비율 200% 이상이면 경고 신호
특히 자산보다 부채가 많으면 유동성 위기 위험


5. 현금흐름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계속 마이너스면, 실질적인 돈이 계속 빠져나가는 구조
자금 조달이 외부 차입에만 의존할 경우 위험


6.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횡령·배임, 최대주주 변경, 영업정지 등 비재무적 이슈도 체크



필터링 팁으로는:
최근 3년간 재무제표 요약 비교해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