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주가 하락 추세의 끝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반응형



주가가 장기 이평선(예: 120일선, 240일선) 아래에서 장기간 머무는 종목은 ‘하락 추세’ 또는 ‘바닥 다지기 구간’으로 볼 수 있는데요. 이럴 때 저점이 다가오고 있다는 가능성을 포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적 신호나 팁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저점 근접을 의심해볼 수 있는 신호 & 팁


1. 거래량 바닥 확인

장기간 거래량이 줄어들다가 특정 캔들에서 거래량 급증 + 양봉 출현 → 매집 가능성.

‘이상 거래량 + 주가 횡보’는 세력이 바닥에서 모으는 신호일 수 있음.


2. 하락 둔화 + 횡보 패턴

하락 각도가 완만해지고 박스권(횡보) 구간이 형성되면 바닥 신호 가능.

특히 저점이 점점 높아지는 디센딩 웨지(하락 쐐기형) 패턴은 반등 신호로 해석될 수 있음.


3. 이격도(이동평균乖離) 과매도 구간 도달

주가가 120일선보다 지나치게 멀어지면 반등 가능성 있음.

예: 120일 이격도 60% 이하 → 과매도.

바닥에서 이격도 수치가 상승세로 전환되는 시점 주목.


4. MACD 다이버전스 (이탈 후 수렴)

주가는 저점 갱신하는데 MACD(혹은 MACD histogram)는 더 이상 저점을 낮추지 않음.

→ 하락 에너지 약화, 추세 전환 가능성을 시사.


5. 스토캐스틱 %K, %D 골든크로스

바닥 구간에서 스토캐스틱이 20 이하에서 골든크로스가 나오는 경우 반등 신호 가능.

단기적 기술적 반등 가능성.


6. 봉 차트 상의 신호 캔들

장대 양봉이 바닥에서 거래량 동반하며 등장.

또는 망치형, 역망치형, 십자형이 지지선 부근에서 반복 발생.



보조지표 조합 팁


거래량 + MACD + 스토캐스틱 3가지 지표가 동시에 바닥 신호를 줄 경우 신뢰도 상승.

장기 이평선과의 이격도가 심한 상태에서 횡보 + 거래량 증가는 특히 주의 깊게 관찰.


추가 꿀팁


과거 바닥 구간과 비교해서 패턴이 유사한지 확인.

주봉/월봉도 같이 봐야 진짜 추세 전환인지 확인 가능.

공매도 잔고, 기관/외인의 수급 변화도 바닥 근접 판단에 유용함.



반응형